공동서신 20

생명의 길을 열어 주심

생명의 길을 열어 주심히브리서 10:19-22 예수님을 증거하고 있는 성경 요한복음 5:39 절에서 예수님은 이런 말씀을 하셨습니다. ‘너희가 성경에서 영생을 얻을 줄 생각하고 성경을 연구하거니와 이 성경이 곧 내게 대하여 증언하는 것이니라.’  지금 우리는 신. 구약성경을 가지고 있지만, 예수님이 이 말씀을 하실 때에는 구약성경밖에 없었습니다. 예수님은 구약성경의 중심적인 내용이 무엇이라고 하십니까? 구약성경은 인류의 구세주로 오실 예수님에 대해 알려주고 있는 말씀이라고 하셨습니다.  그렇다면 나중에 기록된 신약성경의 중심적인 내용은 무엇입니까?신약성경은 구약성경에서 약속해 오신 메시야가 예수라는 사람으로 성육신하여 이 세상에 오셨다는 것과 그 예수님이 인류를 죄에서 구원해 주시기 위해 십자가에서 대속..

공동서신 2025.03.09

믿음이 가져다주는 변화

믿음이 가져다주는 변화히브리서 11:3 오늘 우리가 살펴보려고 하는 히브리서 11:3절 말씀은 창조신앙에 대한 말씀입니다. 여러분은 이 세상이 어떻게 존재하게 되었다고 믿고 있습니까? 이 세상의 시작을 설명해 주는 두 가지 대표적인 이론은 창조론과 진화론입니다. 창조론은 하나님이 이 세상을 창조하셨다는 이론이며, 진화론은 이 세상이 우연히 만들어져서 오늘날과 같은 상태로 점점 변화 되어왔다는 이론입니다.  이 두 이론의 차이점이 무엇입니까? 진화론을 믿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하나님을 믿지 않는 사람들입니다. 하나님에 대한 믿음이 없는 사람들은 진화론을 믿을 수밖에 없습니다. 이 사람들은 진화론이야말로 가장 과학적인 견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진화론은 과학적인 사실이 아닙니다. 진화론은 이 세상의 시작을..

공동서신 2025.03.02

하나님의 사랑

하나님의 사랑요한1서 4장 8절 1. 요한1서의 저자 사도 요한 요한1서를 기록한 사람은 사도 요한입니다. 사도 요한은 예수님과 이종사촌으로, 십대의 어린 나이에 제자로 부름을 받았습니다. 이후 요한은 예수님의 최측근 삼인방 중의 한 사람이 되었고, 예수님의 가장 사랑받는 제자였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다른 제자들은 모두 순교하였습니다.베드로는 로마에서 순교하였고, 그 형제 안드레는 그리스에서 순교하였으며, 도마와 시몬은 인도에서 순교하였고, 바돌로매는 아르메니아 지방에서 순교하였습니다. 두 명의 야고보는 예루살렘에서 순교하였고, 빌립은 튀르키예에서 순교하였습니다. 그러나 요한은 노년까지 살아남았습니다.  성경은 그 이유를 이렇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돌아가시는 날 요한은 처음부터 끝까..

공동서신 2024.12.15

오직 믿음으로

오직 믿음으로히브리서 11:8-16 기독교는 믿음의 종교 오늘은 성서주일입니다. 성경은 하나님이 사람들에게 주신 말씀입니다. 우리 신앙은 하나님이 주신 말씀에 근거를 두고 있는 신앙입니다. 하나님이 주신 말씀을 믿고 살아가는 종교가 바로 기독교입니다.  히브리서 11:6절에서는 “믿음이 없이는 하나님을 기쁘시게 할 수 없다.”고 합니다. 이 믿음은 어떤 믿음입니까? 말씀을 주신 ‘하나님이 계신 것’과 하나님이 ‘자기를 찾는 자들에게 약속하신 상을 주시는 분’이심을 믿어야 한다고 합니다.  우리는 하나님이 성경을 통해 주신 약속의 말씀을 믿음으로 죄 사함을 받았습니다. 구원을 받았습니다.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습니다. 성령을 받았습니다. 하나님께서 주신 모든 은혜는 약속하신 말씀을 믿는 믿음을 통해 우리에게..

공동서신 2024.12.08

하나님이 믿음을 주시면

하나님이 믿음을 주시면히브리서 11:1-6 1. 믿음은 선물이다.  히브리서 11장을 우리는 믿음 장이라고 부릅니다. 그 이유는 히브리서 11장에는 믿음의 정의와 믿음을 살았던 사람들의 삶이 기록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1절에서는 믿음을 정의하기를 ‘믿음은 바라는 것들의 실상이요 보이지 않는 것들의 증거니’라고 합니다. 믿음은 우리가 바라고 소원하고 있는 것들의 실재 상과 같은 것이며, 우리 눈으로 보지 못하는 것들에 대한 증거 물과 같은 것이라고 합니다.  우리가 이 믿음을 어떻게 가질 수 있습니까?믿음은 우리가 가지려고 소원하거나 수고하고 노력한다고 주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인류 역사를 되돌아보면 많은 사람들이 이 믿음을 가지려고 도를 닦고, 고행을 하고, 수양을 해왔습니다.  이런 사람들이 발견한 것..

공동서신 2024.09.15

영혼이 건강한 성도가 되자

영혼이 건강한 성도가 되자요한3서 2-4 1. 사도 요한  우리가 잘 알고 있듯이 사도 요한은 아주 특별한 사람입니다. 그의 어머니는 예수님의 어머니와 자매 사이였습니다. 이렇게 보면 요한과 예수님은 이종사촌 사이가 됩니다.  오늘날은 핵가족 시대이기 때문에 이종사촌이 멀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과거에는 대가족을 이루고 살았습니다. 그때에는 이종사촌이 아주 가까운 사이였습니다. 이종사촌은 마치 한 가족같이 지내던 그런 사이였습니다.  이렇게 볼 때 요한과 예수님은 어릴 때부터 서로가 아주 잘 알고 지내던 사이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 예수님께서는 30세쯤 되셨을 때 유대 땅으로 가셔서 세례요한을 만나 세례를 받으시고, 그 후 유대 광야로 들어가셔서 40일 금식기도를 하신 후에, 다시 유대..

공동서신 2024.06.23

청지기로 살아가는 삶

청지기로 살아가는 삶베드로전서 4:10-11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크고 작은 사건 사고들이 많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특히 많이 일어나고 있는 사고는 바로 화재 사고입니다. 화재는 1년에 4만 건에서 5만 건이 일어나고 있으며, 가정집에서도 야산에서도 장소를 불문하고 무 차별적으로 일어나고 있습니다. 근자에 일어난 화재 사건 중에서 가장 많은 인명 피해를 낸 사건은 바로 2017년 12월 말에 있었던 제천 스포츠 센터 화재 사건입니다. 이 화재 사건에서는 무려 사망자가 29명, 부상자가 37명이나 되었습니다.  어떻게 단순한 건물화재인데 이렇게 많은 인명 피해가 났습니까?그 이유는 화재 초기에 건물주가 곧바로 화재 신고를 하지 않고, 자체 소화전으로 화재를 진압해 보려고 했으나 화재 진압에 실패하였..

공동서신 2024.06.16

거듭난 사람의 특성

거듭난 사람의 특성요한1서 5:13-21 요한복음 3장을 보면 어느 날 밤에 ‘니고데모’라고 하는 유대 종교 지도자가 예수님을 찾아왔습니다. 그래서 예수님과 하나님의 나라에 관한 대화를 나누게 되었습니다. 그때 예수님께서는 니고데모에게, ‘네가 하나님 나라에 들어가려면 반드시 거듭나야 한다.’라고 하셨습니다. 이 예수님의 말씀을 계기로 해서 예수님과 니고데모 사이에는 ‘거듭남’에 대한 대화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네가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가려면 거듭나야 한다.’는 이 말씀은, 좋은 마음을 가지고 예수님을 찾아온 니고데모에게 불편함을 주었을 것입니다. 왜요. 니고데모는 하나님을 잘 믿고 있었기에, 자신은 하나님 나라에 들어갈 것이라는 소망을 가지고 살아왔습니다.  그런데 예수님은 ‘너의 지금 상태로는 하나..

공동서신 2024.05.05

영문 밖으로 나아 가신 예수님

영문 밖으로 나아 가신 예수님 히브리서 13:10-17 1. 히브리서의 저자와 독자의 상황 저자입니다. 히브리서는 누가 쓴 것인지 또 그 독자가 누구인지에 대해 논란이 많은 서신입니다. 히브리서 저자로 거론되고 있는 사람은 대략 일곱 명쯤 됩니다. ‘바울, 바나바, 누가, 클레멘트, 실라, 아볼로, 브리스길라’라는 설이 있습니다. 그러나 입증된 것은 없습니다. 히브리서는 구약성경에 아주 능통한 사람이 기록한 서신입니다. 히브리서에서는 구약성경을 많이 인용하고 있는데 그 인용하고 있는 내용들을 보면 구약성경에 대한 이해가 정말 탁월한 사람의 기록임을 알 수 있습니다. 사도행전 18:24절에는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알렉산드리아에서 난 아볼로라 하는 유대인이 에베소에 이르니 이 사람은 언변이 좋고 성경에 ..

공동서신 2024.02.18

‘공동체와 함께 하는 신앙’

‘공동체와 함께 하는 신앙’ 히브리서 11: 23-26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는 어떤 시대입니다. 개인주의가 아주 광범위하게 퍼져있는 시대입니다. 개인주의는 개인의 도덕적 가치를 중요시하며, 개인의 이익을 공동체의 이익보다 우선시하게 합니다. 그래서 개인주의 사회에서는, 개인의 자유와 개인의 인권을 아주 중요시합니다. 개인주의 사회에서는 개인의 자유로운 의사에 의한 양심적 병역 거부가 용인됩니다. 개인이 저지른 강력범죄까지도 다양한 이유로 선처받기도 합니다. 심지어 동성애라는 비정상적인 생활까지도 개인의 선택으로 보고 법률로 보호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우리 이전 시대 사람들은 어떤 삶을 살았습니까? 어떤 사람이 사회적인 규범에서 벗어난 생활을 하게 되면, 누군가가 나서서 그 잘못된 점을 알려주고, 바..

공동서신 2023.09.03